반응형
종종 한글 조사 때문에 골치 아플 때가 있죠?
"${who1}(은/는) ${who2}(을/를) 사랑합니다."
과거에 이렇게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, 사실 좀 보기 안좋죠??
조사 처리를 위한 함수를 하나 만들었습니다. (다른 곳에서 참조하여)
유니코드 초성/중성/종성 확인 방법
초성 인덱스 = ((한글 유니코드값 - 0xAC00) / 28) / 21
중성 인덱스 = ((한글 유니코드값 - 0xAC00) / 28) % 21
종성 인덱스 = (한글 유니코드값 - 0xAC00) % 28
const getJosa = (name: string,josa1:string,josa2:string) => {
const lastChar = name.charCodeAt(name.length - 1)
const isThereLastChar = (lastChar - 0xac00) % 28
if (isThereLastChar) {
return josa1
}
return josa2
}
이 함수를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const getTextChanges = (field: string, oldValue: any, newValue: any) => {
return t("changed.desc", {
field,
josa: getJosa(field,'이','가'),
oldValue,
newValue
})
}
ko.json
"changed.desc": "{{field}}{{josa}} \"{{oldValue}}\" 에서 \"{{newValue}}\" 으로 변경되었습니다",
한국어 은/는 이/가 와/가 javascript로 처리하기
참 쉽습니다
velog.io
# 해피코딩!!
'Node.js , React,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NODE_ENV 값 설정하기 (0) | 2025.04.10 |
---|---|
[react] zustand 이용한 store-repository 구조 (0) | 2025.03.27 |
[React] OSM : 지형 정보 가져오기(export) (4) | 2025.03.24 |
[React] OSM :MAP Tile Server (0) | 2025.03.24 |
[Docker] NginX docker 환경 만들기 (0) | 2024.12.24 |